- 공부 방향을 설정할 때 넓게 정하는게 좋은지 산업 분야를 한 곳 정해서 하는게 좋은지 궁금합니다.
- 프론트엔드는 알고리즘을 잘 몰라도 큰 상관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 많은 기업들이 문제 해결 경험을 요구하는데, 해당 요건을 갖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신입개발자 채용시 실제로도 나이를 많이 안 보나요?
- 국비과정이나 교육프로그램을 하면서 사이드로 해 볼 수 있는 것들 추천해주세요!
- 전적대는 없고 방송통신대학교 2학년 재학중인 취준생입니다! 기업에서 방송대 졸업도 아닌 재학은 어떻게 바라볼까요..ㅜㅜ 병행 할 수 있다는 걸 잘 설득시켜야 할 것 같은데 어떻게 어필하면 좋을까요?
- 6개월 전부터 공부한 내용을 꾸준히 블로그로 정리하고 실습한 코드는 깃허브에 올리면서 꾸준하게 1일 1커밋을 하고 있는데, 제가 공부하고 있는 양이 많아질수록 블로그에 정리하는 내용과 깃허브 코드양도 많아져 면접때 하나하나에 대한 질문이 들어오면 오히려 대답을 못할 수도 있을것 같은 불안감이 들어서 고민입니다.
- 백엔드 포트폴리오를 만든다면, 어떤 기술 위주로 만드는것 이 좋을까요?
- 멘토님은 처음 코딩테스트를 준비하실때
얼마나 기간을 들여서 알고리즘 준비를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기초 코딩능력을 어느정도 수준에서 이제는
코테를 봐야겠다 생각이 드셨는지(대략적 수준으로 알려주셔도 됩니다!)
- iOS 신입 개발자로 취업 준비중인 사람입니다, 처음으로 개인으로 앱 배포를 하고 싶어서 무리가 없는 정도로 제가 만들고 싶은 걸 생각 중입니다. 홀로 만들 앱을 어떻게 컨셉을 잡고 기획하는지 고민이 됩니다. (배포하지는 않았지만 팀프로젝트는 3번정도 있어요.) 취업을 위해서 하면 안되긴 하는데,, 처음으로 개인 앱 배포를 할 생각을 하니 조금은 고민이 되서 질문 드려봅니다.
- 포트폴리오 기술 스택을 작성할 때 백엔드:java 프런트엔드:html5 이런식으로 작성을 하게 되는데 데이터 관련 기술인 : hadoop, spark 이런 기술들은 큰 카테고리를 어떻게 작성하면 되는걸지 답변주실 수 있나요? 다 똑같은 백엔드 일까요?
- 아는 지인이 창업을 하셔서 그 회사의 DB를 무료로 한번 만들어서 드릴려고 하는데, 구조와 짜임새가 좀 허접하더라도 일단 만들어보면 신입개발자로 취업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까요?? 아무래도 DB를 만드는게 적은 시간이 걸리는게 아니다 보니 시간대비 취업에 큰 이점이 있을까 고민이 됩니다! 차라리 그시간에 코테를 더 준비하는게 좋을까요?....백엔드(데브옵스) 쪽으로 취직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 면접볼 때, 매력적이고 뽑고싶은 사람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취준할 경우 리액트는 어느정도 깊이로 공부해야 할까요?
- 원티드에서 iOS 신입 개발자로서 정식 회사 팀프로젝트가 아닌 비영리동아리단체나 국비교육에서의 팀프로젝트 이력을 가지고 지원시 스타트업은 신입 지원 항상 불합격이던데 어떤 걸 어필해야 좋을까요??
- 요즘 비전공 개발자 취업이 안된다고 들었어요. 현재 업계의 취업 현황이 궁금합니다
- 프론트엔드 취업 희망자가 준비하면 좋은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
- 치고 올라오는 경쟁자들을 생각할 때, 늦게 시작하는 나이가 걱정이 됩니다. 어떤 점들을 보고 내가 개발자로 전향하는 게 맞을지, 또는 빠른 포기가 답일지 알 수 있을까요?
- 코딩테스트를 위한 추천 도서가 있을까요?